기획/정보

슬라이더 vs 스크롤바 차이점과 사용 예시

soup_ 2025. 3. 10. 09:02
반응형

UI/UX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컴포넌트의 선택과 배치이다. 다양한 UI 컴포넌트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슬라이더(Slider)와 스크롤바(Scrollbar)는 컴포넌트 모양만으로 보았을 때 종종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두 컴포넌트는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 사용 목적과 기능에서 큰 차이가 있다.

 

1. 슬라이더란?

슬라이더는 사용자가 특정 범위 내에서 값을 선택하거나 조정할 수 있도록 돕는 UI 컴포넌트이다. 슬라이더는 보통 수치적이거나 양적인 값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는 좌우로 움직이는 막대를 통해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슬라이더의 주요 특징:

  • 주로 숫자, 양, 시간 등의 값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 사용자가 범위 내에서 세밀하게 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값을 조정하는데 직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슬라이더의 예시:

  • 음량 조정: 미디어 플레이어나 앱에서 볼륨을 조절할 때 슬라이더가 사용된다.
  • 가격 범위 조정: 사이트에서 가격 필터를 설정할 때 슬라이더가 사용된다.

출처 - 토스
출처 - Google Material Design

 

 

2. 스크롤바란?

스크롤바는 화면 내에서 콘텐츠의 양이 화면 크기보다 많을 때,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돕는 UI 컴포넌트이다. 스크롤바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나 앱의 콘텐츠를 위아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현재 모바일 혹은 데스크탑을 통해 보고 있다면 화면의 오른쪽에 있는 바가 스크롤 바다.

스크롤바의 주요 특징:

  • 화면 내 콘텐츠가 넘칠 때, 스크롤을 통해 사용자가 전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콘텐츠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크기가 조정된다.
  • 사용자는 스크롤바를 드래그하여 화면을 위아래로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롤바의 예시:

 

 

3. 슬라이더와 스크롤바의 주요 차이점

구분 슬라이더 스크롤
목적 값이나 범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화면의 콘텐츠를 이동하거나 탐색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성 사용자가 직접 범위나 값을 선택한다. 콘텐츠를 화면에 맞게 스크롤하여 보여준다.
디자인 수평 또는 수직 막대 형태로, 값의 조정 범위가 명확하게 표시된다. 콘텐츠가 많을 경우, 화면의 상단이나 오른쪽에 자동으로 나타난다.
주요 활용 예시 음량 조정, 가격 범위 설정, 시간 선택 웹 페이지 스크롤, 긴 뉴스피드나 소셜 미디어 피드 탐색

 

슬라이더와 스크롤바는 겉보기엔 유사할 수 있지만, 그 용도와 기능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다.
슬라이더는 사용자가 값을 조정하는 데 적합한 컴포넌트이며, 스크롤바는 콘텐츠가 많을 때 이를 탐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