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용어 4

생성형 AI를 넘는 AI Agent

오늘은 AI와 관련된 단어 하나를 공유하려고 한다. 생성형 AI에 더 나아간 AI Agent이다. 생성형 AI란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또는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프롬프트에 대응하여 텍스트, 이미지, 기타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일종의 인공지능(AI) 시스템이다. 종류는 GANs, VAEs 등 여러 형태의 모델이 있지만 우리가 주로 알고 있는 Chat GPT 등은 트랜스포머 모델이다. 트랜스포머 모델은 주로 텍스트 작업에 특화된 모델로 알고 있다.생성형 AI는 이전 글에도 소개한 ImageFX 뿐만 아니라 이미 유명한 ChatGPT와 같이 글, 그림, 사진, 코딩 등 사용자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데이..

기획/둘러보기 2024.11.17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을 IT 용어(3)

1. 인하우스 기획자단어 그대로 해석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회사 소속 내에서 회사에 대한 서비스 개선이나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기획자로보통 외주를 요청하는 쪽이다. (갑을 관계로 지정한다면 갑인 회사에서 기획자로 일하는 것이다.)*보통 서비스를 처음부터 지속으로 성장시키고 개선하고 싶다면 인하우스 기획자가, 프로젝트 성으로 단기에 많은 분야와 서비스를 겪어보고싶다면 에이전시 기획자로 일하는 것도 좋다. (일반적인 경우를 말하며, 회사마다 그 특성이 다름을 참고) 2. 사용자 스토리(백로그)전체 서비스가 갖춰야 할 고객의 목표와 핵심 결과를 사용자 목표에 따라 잘게 나눠 작성한 요구사항 목록이다. 애자일 방법론에서도 등장하는 용어이며, Jira나 Confluence와 같은 협업 툴에서도 볼 수 있는 용..

기획/정보 2024.01.18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을 IT 용어(2)

오늘은 서버와 연관된 용어들을 적어보려고 한다. 작은 규모의 회사에 관련 개발자들이 없다면 기획자가 본인의 프로젝트 규모에 맞는 서버 호스팅 혹은 클라우드 등 서버 관련 업체를 직접 알아보고 소통하기도 한다. 흔히 알고 있는 호스팅이나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기본적인 용어 외 다른 추가적이 용어들을 적어보았다. 1. 미들웨어(MiddleWare)란? 소프트웨어를 계층적으로 표현했을 때 OS와 애플리케이션 사이 OS에서 확장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DBMS와 같은 것을 미들웨어라고 합니다. 2. SaaS(Software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차이 Sas..

기획/정보 2024.01.17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을 IT 용어

오늘은 업무를 진행하면서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소통 시 알아두면 좋을 몇 가지 용어들을 적어보려고 한다.일부 단어와 함께 혼동될 수 있는 용어도 함께 적어두었다. 1. 레거시(legacy)과거에 개발되었지만, 아예 삭제할 수 없고 새롭게 개발되어도 기본적인 운영은 유지하는 낡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더 사용하지 않더라도 현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레거시와 혼동할 수 있는 단어는 as-is다. as-is는 레거시와 같이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사라질 시스템을 말한다.  2. 팝업, 모달, 알럿의 차이디자인에 적용될 차이 뿐 아니라 개발에서도 팝업, 모달, 알럿에는 구현의 차이가 있어 알아두는 것이 좋다.팝업창: 브라우저 창 위에 또 다른 브라우저 창을 띄우는 형태. 사용자 브라우저에..

기획/정보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