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하우스 기획자단어 그대로 해석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회사 소속 내에서 회사에 대한 서비스 개선이나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기획자로보통 외주를 요청하는 쪽이다. (갑을 관계로 지정한다면 갑인 회사에서 기획자로 일하는 것이다.)*보통 서비스를 처음부터 지속으로 성장시키고 개선하고 싶다면 인하우스 기획자가, 프로젝트 성으로 단기에 많은 분야와 서비스를 겪어보고싶다면 에이전시 기획자로 일하는 것도 좋다. (일반적인 경우를 말하며, 회사마다 그 특성이 다름을 참고) 2. 사용자 스토리(백로그)전체 서비스가 갖춰야 할 고객의 목표와 핵심 결과를 사용자 목표에 따라 잘게 나눠 작성한 요구사항 목록이다. 애자일 방법론에서도 등장하는 용어이며, Jira나 Confluence와 같은 협업 툴에서도 볼 수 있는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