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문서 작성

기획자 QA -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법 (2)

soup_ 2024. 11. 24. 23:46
반응형

지난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법 첫번째 글에 이어 두번째 내용이다.
첫번째 문서 생성과 구성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https://soupsrice.tistory.com/31

 

기획자 QA -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법 (1)

오늘은 테스트 단계인 통합테스트 문서 작성 방법 중 문서 구성에 대한 내용이다.테스트 세분화 시 통합테스트 외 단위테스트, 인수테스트 등이 있지만그 중 필수로 수행되는 통합테스트에서

soupsrice.tistory.com

 

오늘은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보려고 한다.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법

통합테스트는 앞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의된 내용이 여러 환경(연동 솔루션, api, 연계 데이터 등)에 정상적으로 구현이 되었는지 모든 상황을 고려해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전에 작성한 요구사항과, 화면설계서를 작성하며 부여된 화면ID를 맵핑해 통합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면 된다.
이에 대한 예시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요구사항 - "홈페이지 GNB 하단 서비스 홍보를 위한 메인 배너 삽입"
화면설계서 - 화면을 그리고 "PNID0001" 이라는 ID를 부여한다. (예시로 그린 화면설계서는 생략)

통합테스트 진행 시 이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작성해 볼 수 있다.

예시 이미지1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예시

 

1) depth - 주메뉴와 서브메뉴 정보를 작성한다. 최대 depth에 따라 열을 늘리기도 한다.
2) 화면ID
- 화면설계서에서 부여한 ID 정보
3) 관련 링크
- 요구사항 / 화면설계서 / 디자인 등 테스트 수행 시 참고할 산출물 링크
4) 테스트 케이스명
- 테스트와 연관된 제목 기입
5) 테스트 절차
- 테스트 수행 방법을 자세히 기입
6) 기대 결과
- 테스트 수행 후 예상되는 결과 (정상일 때의 예상 결과)
7) 중요도
- 테스트 수행 항목에 대한 중요도_Low/Medium/High
8) 테스트 데이터 조건
- 수행 시 필요한 사전 작업 사항 등 기입
9) 테스트 데이터
- 로그인에 필요한 테스트 계정 등 필요한 테스트 데이터 기입
10) 테스트 결과
- Pass / Fail 로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보류' 등 알맞게 추가
11) Admin 연동
- 화면과 연동되는 관리자 사이트 확인 필요 여부 (위 예시에서는 관리자이지만 상황에 따라 솔루션 등 연동성 테스트를 진행 한다)
12) 관련 담당자
- 해당 테스트 수행과 연관된 담당자 (기획/개발 등 상황에 따라 테스트 수행자가 질문할 수 있도록 해당 담당자 기입)
13) 테스트 대상 기기
- 모바일 테스트 시 정의된 테스트 기기 (웹이라면 브라우저 등 표시)


위의 예시는 실무와 가깝게 들어본 예시로 프로젝트별 상황과 테스트 수행 필요 항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주로 위의 내용처럼 요구사항과 화면설계서에서 작성한 내용들이 빠짐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작성한다.

 

참고사항

테스트 결과의 경우 웹 브라우저라면 브라우저별로 테스트 결과를 다 다르게 기입하기도 한다. (크롬/사파리/네이버 등)
정답은 없으며 본인의 업무 환경에 맞게 테스트 수행자와 이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한눈에 잘 파악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이 좋다.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작성하다보면 테스트케이스 시나리오 작성에 대한 노하우가 쌓일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