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 18

관리자 사이트 코드 관리 기능 적용

고객 사이트와 연동되는 관리자 사이트는 모든 메뉴들이 고객에게 제공하 서비스와 연관되어 구성하게 된다.예를 들어,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라면 공개 물품부터 가격, 할인율, 문의사항 등 연관된 여러 관리자 메뉴를 생성하고 관리자가 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게 한다.고객 화면에서는 서점, 옷, 콘텐츠 등 어떠한 서비스 분야라도 보여주고 싶은 부분을 더 강조하기 위해 가장 먼저 노출되는 '순서'가 중요하다.이는 고객이 보는 카테고리 혹은 검색 결과 순위 등에 녹여져 있다. 관리자가 코드 관리를 하는 이유고객에게 보여지는 정보는 대부분 데이터로 관리된다.이때 고객에게 보여지는 제품 노출 순서, 검색 결과 순서, 검색 필터 순서, 메뉴 순서 등 고객에게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유도할 ..

기획/정보 2024.01.25

정보처리기사 정규화 과정(1) 1NF, 2NF, 3NF, BCNF

정규화 과정은 종속성 이론을 이용해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는 과정이다.사실 위의 정의는 처음 봤을떄 뭘 이렇게 어렵게 말을 하지 라고 생각을 했다.개인적으로 이해하기는 릴레이션(테이블)을 분해하여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중복되거나 예기치 못한 현상(잘못 삽입/삭제/갱신)을 방지하기 위해 정규화 과정을 진행한다.정규화를 알기 전 아래의 내용을 숙지하면 좋다. 제1정규형(1NF)1NF는 릴레이션(테이블)에 속한 도메인이 원자값만으로 되어있는 정규형이다.아래의 표 과목 속성을 보면 수학, 영어 두 개가 있다. 이름나이과목홍길동17수학, 영어김철수17과학, 사회 1NF를 만족하려면 아래와 같이 과목에 원자값만 있어야 한다. (값이 하나만 있어야 한다.)이름나이과목홍길동17수학홍길동17..

자격증 2024.01.23

SQLD 자격증 후기

작년(2023년)에 시간적 여유가 있어 자격증을 하나 취득했다.SQLD(SQL Developer)라는 자격증인데, 기획자가 무조건 따야할 자격증은 아니다.다만, 기획자가 서비스 운영이나 기획 전 데이터 분석을 진행할때 쿼리를 작성하여 직접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싶다면조금의 기초 지식은 얻어갈 수 있을 것 같다.실무에서 기획자가 데이터 분석을 진행할때는 사실 데이터를 분석하는 자체의 일보다는 어떤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실무에서 친절한 개발자가 쿼리를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모두 공유하고 기꺼이 설명하는 개발자를 만난다면 기획자가 직접 쿼리를 짜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해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다.(작성자인 나도 한 회사에서 그렇게 쿼리를 직..

자격증 2024.01.21

서비스 기획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2)

요구사항정의서는 회사 혹은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조금씩 변형하여 작성하기 때문에내 기준 서비스 규모에 따라 요구사항 정의서를 그에 맞게 적용한다.이번 글은 규모가 크거나 요구사항 목록이 많을 경우 사용하는 예시이다. 작성 예시 2 위의 양식의 경우는 진행할 개발의 최종 비즈니스 목표와 같이 직무와 상관없이 공통으로 참고해야할 요구사항도 표 윗부분에 추가되어있다.예시와 같이 한 시트에 작성하거나 표지처럼 나누어 작성하기도 한다. ID: 요구사항정의가 완료되고난 후 해당하는 ID를 부여하여 적는다.구분: 사용자와 관리자로만 나뉜 서비스가 아니라, 여러 시스템을 연계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공통, 사용자, 관리자 시스템 1, 관리자 시스템 2와 같이 구분하여 작성한다.서비스(메뉴): 해당 ..

서비스 기획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

요구사항 정의서는 서비스 개선 혹은 구축 전 이해관계자들과 협의된 내용들을 적는 문서이다.해당 문서에 명시된 내용들은 모두 협의된 내용이기에 프로젝트 초기 설계부터 테스트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참고한다. 서비스(혹은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작성 범위가 다르다.사용자 중점 기능들 위주로 적고 비기능적 요소(보안, 품질, 시스템 효율 등)은 필수적인 것들만 적거나,사용자 중점의 기능적 요소와 비기능적 요소 모두를 구체적으로 적는 경우도 있다.해당 문서는 워터폴 방식 프로젝트의 경우 설계 이후 단계에서 수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명확하고 자세히 적는 것이 좋다.(애자일 프로젝트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요구사항을 변경될 수 있다.)보통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정의서는 명확하게 작성되어야 추후 이해관계자들..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을 IT 용어(3)

1. 인하우스 기획자단어 그대로 해석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회사 소속 내에서 회사에 대한 서비스 개선이나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기획자로보통 외주를 요청하는 쪽이다. (갑을 관계로 지정한다면 갑인 회사에서 기획자로 일하는 것이다.)*보통 서비스를 처음부터 지속으로 성장시키고 개선하고 싶다면 인하우스 기획자가, 프로젝트 성으로 단기에 많은 분야와 서비스를 겪어보고싶다면 에이전시 기획자로 일하는 것도 좋다. (일반적인 경우를 말하며, 회사마다 그 특성이 다름을 참고) 2. 사용자 스토리(백로그)전체 서비스가 갖춰야 할 고객의 목표와 핵심 결과를 사용자 목표에 따라 잘게 나눠 작성한 요구사항 목록이다. 애자일 방법론에서도 등장하는 용어이며, Jira나 Confluence와 같은 협업 툴에서도 볼 수 있는 용..

기획/정보 2024.01.18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을 IT 용어

오늘은 업무를 진행하면서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소통 시 알아두면 좋을 몇 가지 용어들을 적어보려고 한다.일부 단어와 함께 혼동될 수 있는 용어도 함께 적어두었다. 1. 레거시(legacy)과거에 개발되었지만, 아예 삭제할 수 없고 새롭게 개발되어도 기본적인 운영은 유지하는 낡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더 사용하지 않더라도 현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레거시와 혼동할 수 있는 단어는 as-is다. as-is는 레거시와 같이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사라질 시스템을 말한다.  2. 팝업, 모달, 알럿의 차이디자인에 적용될 차이 뿐 아니라 개발에서도 팝업, 모달, 알럿에는 구현의 차이가 있어 알아두는 것이 좋다.팝업창: 브라우저 창 위에 또 다른 브라우저 창을 띄우는 형태. 사용자 브라우저에..

기획/정보 2024.01.16

서비스 기획 IA(Information Architecture) 작성 방법

서비스 설계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구조를 짤 때 IA를 작성한다.IA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있지만 나의 경우는 내 스스로의 대략적인 구조를 짜거나 변경하기 위해 항상 작성하는 편이다.오늘은 기획 단계에서 중요한 IA를 작성하는 방법과 어떻게 이를 다음 단계로 이어가면 좋을 지에 작성해 보려고 한다.명확한 정답은 없으나 대략적인 방법을 알고 이를 본인의 회사, 프로젝트 환경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좋다. Information Architecture 란?서비스(웹/앱) 구축 시 필요한 화면과 메뉴의 정보 구조를 설계하는 문서정확한 정의나 뜻은 위와 같지만 설명을 추가하자면 내가 구상한 서비스 혹은 요구사항으로 받은 서비스에큰 틀을 짜기 위한 문서다.사이트를 예로 들자면 보통 대메뉴(G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