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설계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구조를 짤 때 IA를 작성한다.
IA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있지만 나의 경우는 내 스스로의 대략적인 구조를 짜거나 변경하기 위해 항상 작성하는 편이다.
오늘은 기획 단계에서 중요한 IA를 작성하는 방법과 어떻게 이를 다음 단계로 이어가면 좋을 지에 작성해 보려고 한다.
명확한 정답은 없으나 대략적인 방법을 알고 이를 본인의 회사, 프로젝트 환경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좋다.
Information Architecture 란?
서비스(웹/앱) 구축 시 필요한 화면과 메뉴의 정보 구조를 설계하는 문서
정확한 정의나 뜻은 위와 같지만 설명을 추가하자면 내가 구상한 서비스 혹은 요구사항으로 받은 서비스에
큰 틀을 짜기 위한 문서다.
사이트를 예로 들자면 보통 대메뉴(GNB)에 부터 상세 페이지까지 어떠한 구조와 내용으로 화면들을 구성할 것인지,
함께 체크 혹은 협의해야할 사항들이 있을지 등을 작성하는 것이다.
IA를 먼저 진행하게 된다면 생각했던 서비스 혹은 요구사항을 구체화 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작성 예시
아래는 내가 실무 시 사용하는 양식이다.
위의 IA는 좀 더 자세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은 페이지(화면)명, 구분, 뎁스, 설명, 개발 체크사항, 협의 여부, 비고 등으로 구성한다.
작업자의 취향에 따라 더 세분화 하거나 체크해야하는 항목들에 맞게 표를 수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더 많은 예시들이 서칭만 하면 나오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IA 구조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개인적으로는 문서를 읽을 대상에 따라 더 세분화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해당 문서의 주 협의 대상이 마케팅 부서인지, 임원인지, 개발자인지에 따라 다르게 쓴 기억이 있다.
(그보다 먼저는 작업자인 '나'의 체크 사항에 따라 추가하였다.)
변경 예시
검색하여 받아볼 수 있는 양식(위와 같은 예시)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IA 문서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임원들과의 협의에서는 위 문서가 적합하지 않았다.
만약 기업의 규모가 크지 않아, 서비스의 설계부터 바로 임원진들과의 협의를 진행했을 때는 PPT를 활용한 적이 있다.
연령대가 높은 임원진들에게 작성한 엑셀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은 적합하지 않아, 별도로 IA를 요약한 버전으로 문서를 구성했다.
해당 문서는 표지 > 서비스 메뉴 구조도 > IA > 각 메뉴별 참고 예시 및 설명 으로 구성했다.
임원들에게는 구체화될 화면 구조와 조건들 보다는
기획 의도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여 위와 같은 방식의 문서로 설명했다.
기획자는 설명(설득)하거나 협의할 대상에 맞게 문서를 작성하고 보기 쉽게 요약 혹은 구체화 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검색에 나오는 양식이 항상 정답은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잘 활용하길 바란다.
'기획 > 문서 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자 QA -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법 (2) (0) | 2024.11.24 |
---|---|
기획자 QA -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법 (1) (0) | 2024.11.22 |
이상적인 UX 라이팅과 다른 업무 사례 (0) | 2024.07.11 |
서비스 기획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2) (0) | 2024.01.20 |
서비스 기획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