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가 발전하면서 기획자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예전에는 기획자가 서비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요구사항을 정리하는 것이 주된 업무였다면, 앞으로는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자동화된 UI/UX 설계, 개인화된 서비스 기획이 중요해 질 것이다.
1. AI가 기획에 주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AI가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기획자는 보다 근거 있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 자동화된 UX/UI 설계: AI 기반 디자인 도구(예: Figma의 AI 기능, Midjourney, ChatGPT 등)를 활용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 개인화된 서비스 기획: 추천 시스템, 챗봇, AI 기반 검색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설계하는 것이 필수가 되고 있다
2. 기획자의 역할 변화
반복적인 업무에서 창의적인 업무로 전환
AI가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기획자는 더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전략 수립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 분석과 디자인 자동화가 발전함에 따라 기획자는 단순한 문서 작업에서 벗어나 비즈니스 전략과 사용자 경험을 종합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 서비스 전략가: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기획 및 서비스 방향성 설정
- 사용자 경험 설계자: AI를 활용한 인터랙션 디자인 및 개인화된 UX 기획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기획 방향을 설정
기획자의 강점이 더욱 중요해짐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패턴을 분석하는 데 강하지만, 창의적인 기획과 사용자의 감성을 이해하는 능력은 여전히 기획자의 몫이다. AI의 보조를 받되,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영역에서 차별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사용자 중심 사고: 데이터를 해석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
- 문제 해결 능력: AI가 제시하는 데이터나 패턴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해결책을 도출하는 역량
-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AI 도구를 활용하는 개발자, 디자이너와 원활하게 협력하는 능력
3. AI 시대 기획자가 갖춰야 할 역량
AI 시대에 기획자가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역량이 필요하다.
1) 데이터 리터러시
-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
- SQL, Google Analytics, Amplitude 등 데이터 분석 도구 활용
2) AI 기술 이해
- AI 서비스의 원리 및 한계를 이해하고, 이를 기획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예: 추천 시스템, 자연어 처리(NLP), 이미지 생성 AI 등
3) 문제 해결 및 창의성
- AI가 처리하기 어려운 부분(서비스 전략, 감성적 UX 설계 등)을 기획자가 주도
- AI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 경험을 설계하는 능력
4. 마무리
AI 시대에도 기획자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단순 문서 작업을 넘어 AI 도구를 적극 활용하고, 데이터 기반 기획을 강화해야한다. AI에 대한 부담감보다 오히려 이를 이용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새로운 역량을 키운다면 기획자에게 필요한 역량과 능력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다.
반응형
'기획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라이더 vs 스크롤바 차이점과 사용 예시 (0) | 2025.03.10 |
---|---|
시니어를 위한 UI/UX (0) | 2025.02.14 |
기획자를 위한 Figma Auto Layout - Fill Container, Hug contents (0) | 2024.11.19 |
Figma - Thumbnail 등록 방법 (0) | 2024.11.16 |
기획자에게 유용한 피그마 플러그인(3) (0) | 2024.11.15 |